top of page

Chaboon Goh 고차분

B.1985 | Korea

영혼의 그릇, 장막 집

인생이 처음 시작될 때, 우리는 육체라는 집을 입고 나온다. 그 집은 내가 선택하지 않았고, 그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나의 원초적인 베이스가 되었다. 이러한 베이스는 장성한 성인이 될 때까지 나의 삶을 지배하고, 나라는 존재를 형성해 간다.

나는 그렇게 영과 혼을 담고 있는 그릇, 다시 말해 껍데기(육체)를 장막 집이라고 부른다. 이런 깨달음은 고린도후서 5장에서 기인한 것이다.

“만일 우리의 장막인 집이 무너지면 하나님께서 지으신 집, 곧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요,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이 우리에게 있는 줄 아느니라. 참으로 우리가 여기 있어 탄식하며 하늘로부터 오는 우리의 처소로 덧입기를 간절히 사모하노라.”


내면을 비추는 외면의 ‘집’

내 작품은 집을 캔버스에 표현하는 것보다 짓는다는 표현이 더 어울릴 듯하다. 비어있는 캔버스 위에 집의 기초를 놓는 몇 가지 작업 과정이 필요한데, 그 중간 단계가 독특하고 재미있다.

예를 들면, 거칠게 지어진 집의 형상은 굉장히 날카롭고 괴상하게 굳어있다. 그러면 나는 가위로 그 괴상한 덩어리들을 잘라내고 칼로 도려낸다. 뭉쳐있는 덩어리들이 너무 날카로워서 장갑을 끼지 않으면 금세 손에 상처를 내거나 이따금 칼날이 제 맘대로 캔버스 천까지 도려낸다. 그럴 때면, 나는 유년 시절에 다듬어지지 않고 생성되었던 내면의 가시들에 의해 아팠던 기억을 떠올린다.

나는 조용히, 캔버스 앞에서 내면에 존재하던 그것들과 독대하며, 조각도로 집을 깎는다. 그리고 나의 모난 것과 함께 맺혔던 고통스럽던 날들을 잘라내고 도려내려고 한다. 이렇게 캔버스에서 떨어져 나간 부산물이 쌓여갈수록, 나의 작업은 둥글둥글한 집의 형태로 잡혀간다.


안식처의 ‘집’

진정한 안식에 머물게 할 수 있는 ‘집’은 어디에 있을까? ‘나’라는 존재를 넘어 모든 이들에게 해함도 상함도 없는 진정한 안식처로서의 ‘집’을 꿈꾸며, 모리스 마테를링크가 발표한 동화극 『파랑새』에서 블루버드를 행복의 상징으로 삼았던 것처럼 나를 품어 줄 온전한 ‘집’을 찾아 나선다.

집에서 집으로. 행복이라는 파랑새를 찾아 헤매듯 이 집 저 집을 지나오며 나는 지금의 집에 머물러 있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품어 줄 거라 기대했던 마음들이 허기진 외로움이 되어 마음의 집을 부수고 허물어내기도 하지만, 그렇기에 더더욱 진정한 안식처로서의 ‘집’을 갈망한다.

그림 속의 집은 나의 마음을 대변하는 상징적 존재이자 숱한 누군가이다. 때론 홀로이, 또 때론 무리가 되어 캔버스 위를 맘껏 유영한다. 길을 지나고,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 쉼 없이 나아가는 무리들은 화면을 빼곡히 채워간다.

육신의 장막이 무너지는 날, 안식으로 향하는 길은 어려운 여정이기에 서두르지 않고, 인생의 길을 걸어가려 한다. 대부분 육체가 쇠잔할 때가 돼서야 물질로 짓지 않은 안식처를 바라보겠지만, 정확히 그때가 언제인지 알 길이 없으니, 부분적으로 알았던 것에서 벗어나 온전한 안식에 이를 때까지 오늘의 집을 올곧게 지어가려 한다.







<개인전>

2023 “집에서 집으로”, 더현대 프린트베이커리, 서울

             “내 마음의 심연”, 더현대 프린트베이커리, 서울

2022 “마음이 지어가듯”, 예술공간 집, 광주

2021 “Salon Art Shopping Au Carrousel Du Louvre”, Louvre museum, Paris

2019 “어서오세요”, 소아르 미술관, 화순

2017 “쉼”, 유·스퀘어 금호갤러리, 광주

2016 “계림 창작마당 청년작가전”, 은암미술관, 광주


<2인전>

2024 “진영 × 고차분”, 갤러리일호, 서울

2023 “HypeN with Land Rover Korea X 고차분”, 레인지로버 하우스, 여주

2023 “숨결의 공간, 이기숙 × 고차분”, 하랑갤러리, 서울


<단체전>

2024

“KIAF SEOUL 2024”, COEX, 서울

“제30회 현대미술한일전”, 구보타갤러리, 도쿄 / “ART TO GO”, 현대백화점 판교점, 서울

“AI 시대, 예술은 무엇으로 사는가?”, 조선대 미술관, 광주

“아트부산”, BEXCO, 부산 / “DIAF”, EXCO, 대구 / “BAMA”, BEXCO, 부산 / “화랑미술제”, COEX, 서울

“Spring into Color”, 갤러리 아이엠, 서울 / “HUMAN BEING”, 갤러리 다선, 과천

“HYPE”, 서울옥션, 서울

2023

“서울아트쇼 2023”, COEX, 서울 / “우리는 누구나 어린이였다”, 하랑갤러리, 서울

“ZEROBASE × 전남문화재단”, 서울옥션, 서울

“대구국제아트페어”, EXCO, 대구 / “아트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제29회 현대미술한일전”, 갤러리H, 서울 / “화랑미술제”, COEX, 서울

2022

“담양 아트위크 2022 - 유유자적”, 다미담예술구, 담양

“취리히 국제아트페어”, 취리히 컨벤션 센터, 취리히

“위드 코로나19 - 삶”, 도림갤러리, 목포 / “제28회 현대미술한일전”, 구보타갤러리, 도쿄

“어반브레이크”, COEX, 서울 / “조형아트서울”, COEX, 서울 / “디어마이광주”, 신세계백화점, 광주

2021

“서울아트쇼”, COEX , 서울 / “아트광주21”,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

“DEAUVILLE ART SHOPPING”, Centre International Deauville Hall, Deauville

“예술산책”, 담양예술창고, 담양 / “제27회 현대미술한일전”, 구보타갤러리, 도쿄

“ZEROBASE SPECTRUM”, 서울옥션, 서울 / “코로나19 이후 인간의 삶”, 도림갤러리, 갓바위미술관, 목포

Exhibitions

© 2023 by Art Space House. Powered and secured by Wix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