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nsung Lee 이인성

B.1982 | Korea

“나의 작품은 주로 삶 속 마주한 인상적인 장면들이 소재가 된다. 어느 소설의 한 구절에 내 삶의 모습이 투영되듯이, '삶'이라는 한 권의 책 속 한 페이지의 삽화처럼 표현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삶 가운데 가시화되지 않는 요소들을 상기시키고 해석하게 한다. 내자신이 마주한 삶 속 흔적의 은유적 표현이지만, 동시에 관람객 또한 삶의 의미가 부여될 수 있는 이야기의 교차점들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그림들은 주황색 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들은 '이것'을 찾아내거나 가지려 하며 때로 나누거나 숨긴다. 주황색 점은 우리가 삶 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욕망이자 목표이며 다양한 삶의 가치관이다.” 

 - 이인성 작가노트 中



작가들은 자신의 삶과 연계된 현실의 다양성을 의식한 상태에서 수사적 동일성을 찾기도 하지만 일상에서 쉽게 마주하는 의제들을 화면 속으로 끌어 들여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고, 고해의 틈 안에서 조형을 거듭한다. 가끔은 삶의 투영이 진실하게 이뤄지지 않은 채 미를 가장한 시각적 쾌락, 혹은 껍데기의 재현에 머물거나 편애 된 가치 또는 유희에 불과한 매개로 남겨지는 것도 사실이다. 작가란 그렇게 강력한 리비도 아래 초자아와 갈등을 빚으며 ‘세상과의 반응’을 표현의 화두로 삼는다.

작가 이인성의 작품에서도 ‘세상과의 반응’을 본다. 정적이고 고요하여 역동성과는 거리를 둔 그 반응은 정지된 듯 순간적 지연에 몰입된 사물과 스냅처럼 멈춰서 있는 풍경 등에서 적절히 드러난다. 유속 느린 그것의 정체는 지각하는 인간만이 깨달을 수 있는 대상에 대한 개념과 이성, 판단과 가치관을 함축한 ‘사유’이다. 내면의 성찰을 통한 삶의 단상들 혹은 존재론적 고찰, 그 자체인 셈이다. 그러고 보면 그의 작업들은 꽤나 지적이다. 대충 그린 듯한 형상과 무거운 침묵의 화면은 무관심할 수 있는, 평범하고 진부하며 사소한 범주를 집요하게 탐구하여 자신의 예술영역으로 소환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더구나 작품 구석마다 숨어있는 비움으로써 채우고 채워짐으로써 비워낸 채 여러 현실적인, 혹은 시공의 잔상이 남긴 의미들을 덧씌우지만 그것이 형식을 통해 직관적인 지력위에서 활성화 되어있을 뿐 그 자체가 전부는 아니다. 많은 측면에서 정화의 과정을 다룬다.

간혹 울부짖는 소와 쓰러진 채 피를 흘리고 있는 투우사가 그려진 <어느 투우사의 죽음>(2021)이나 <축제>(2021)처럼 슬프고도 괴이한 장면이 등장하지만 이 또한 정화의 과정이다. 괴이함은 되레 신성한 믿음의 기호이며, 투우사와 투우 간이 그러하듯 서로에 의해 상처 입은 하나하나의 대상은 의외로 가시적이지 않은 실존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 그 자체로 예술의 주제이자 작가 스스로가 삶을 마주하는 시선이다.

홍경한 평론가 

-<아이엠그라운드>전시 평론글 中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 졸업 / 동 대학원 미술학과 석사 졸업, 박사 수료


전시 및 수상, 레지던시 경력

2022 광주문화예술상 오지호 특별상

2021 광주시립 하정웅 미술관 청년작가 초대전

2020 2회 조선대학교 올해의 작가상

2019 광주미술상

2017 광주시립미술관 ‘2017 빛’ 하정웅 청년작가 미술상 /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프로그램 선정작가

2016 18회 광주 신세계미술제 대상

2014 일본 코가네쵸바잘 레지던시, Yokohama, Japan / 2013 광주 미테 우그로 레지던시

2011 광주 시립미술관 북경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 2010 광주 시립미술관 양산동 창작스튜디오


개인전  (총17회 한국, 중국, 태국 외)

2024 <PAGE> 아트공감, 서울
2022 <어느날 문득>, space1326, 서울 / <Round Round>, 나주예술의전당, 나주

2021 <I am ground>, 광주시립하정웅미술관, 광주 / <케렌시아>, 우제길미술관, 광주

2020 <회화와 알레고리>, 무안군오승우미술관, 무안 / <무겁지도 가볍지도>, 광주신세계갤러리, 광주

2019 <낮 과 밤> 해지면열리는미술관, 순천

2018 <비어있는 씨앗> 숄츠앤융갤러리, 광주 / <Ping-pong> 사루비아다방, 서울

외 다수


단체전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 홍콩, 대만, 베트남, 인도네시아 외)

2024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위하여>, 보문복지재단 동곡뮤지엄, 광주

<2024 도시를 누비는 건축조형>, Kogane studio B, Yokohama, Japan

2023 <Here is where we meet>,It’sReadySpace, Yogyakarta, Indonesia

<풍류, 한국의 멋>2023 문화도시광주전, 베트남국립미술관, Hanoi, Vietnam

2022 <일상인연>, 아트스페이스KKI, 일산

한국,인도네시아 그룹전<New&New>, space1326, 서울

<언리미티드아트페어:나를위한컬렉션>광주신세계갤러리, 광주

2021 한국청년작가 초대전 <Hay in a Needle Stack>, 주홍콩한국문화원, 홍콩

광주비엔날레 5.18 민주화운동 특별전<볼 수 있는 것과 말 할 수 있는 것 사이>, 구 국군광주병원, 광주

외 다수 참여

Exhibitions

© 2023 by Art Space House. Powered and secured by Wix

bottom of page